본문 바로가기

농넷, 농산물유통 종합정보시스템

농산물유통 종합정보시스템

LOADING

농산물 이미지 정보

대파

깐대파조미채소류

"우리나라 음식의 대표적인 향신 채소인 대파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어 국내에서는 적어도 통일신라시대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대파는 재배역사가 오래되었고 우리 국민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채소 중 하나이다. 수요가 많아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넓고 종자의 유통량이 많다. 대파에는 두 가지 맛이 있는데, 생으로 사용할 때는 알싸한 매운맛과 특유의 향이 있으며, 익히면 단맛을 내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생 대파는 특유의 향이 잡냄새를 잡아주기 때문에 다양한 요리의 향신 채소로 사용하며, 육수를 우려낼 때는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내기 위해 뿌리 부분을 사용한다. 대파의 영양 및 효능 파의 흰 부분은 담황색 채소, 녹색 잎은 녹황색 채소로 영양성분이 다르다. 대파의 잎 부분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칼슘이 풍부하여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준다. 대파의 흰 줄기인 연백부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은데 사과보다 5배 많은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대파 뿌리에 다량 함유된 알리신 성분은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신경을 안정시켜 불면증을 개선하고 완화해준다. 또한 알리신은 비타민 B1의 흡수를 돕기 때문에 비타민 B1의 함량이 많은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좋고, 음식의 전분과 당분이 열량으로 전환하여 피로를 해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뿌리에는 가열해도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활성화되는 폴리페놀이 풍부하다. 대파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숙변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육류나 볶음요리처럼 지방 성분이 많은 음식에 대파를 함께 섭취하면 콜레스테롤이 체내 흡수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위장을 따뜻하게 만들고 노폐물을 배출시켜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이다."

조회수 244다운로드 7

※ 데이터 출처 : '농산물 이미지정보' 내 사진은 aT에서 촬영한 것으로 누구나 다운로드 받아 쓸 수 있는 제1유형 공공저작물입니다.

- 제1유형 공공저작물 : 출처 표시만 하면 자유 이용 가능

-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촬영한 것으로, 품질이 고려되지 않은 상품입니다.

1. 조회항목, 기준, 기간을 선택 할 수 있는 영역

  1. ⓐ 조회항목차트에서 보여지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 조회기준선택된 기준으로 차트가 보여지며, ②필터영역의 하단에 해당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는 필터 나타납니다.
  3. ⓒ 조회기간데이터를 다양한 기간별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선택 할 수 있습니다.
  4. 직접 조회 기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필터영역 : 조회 기준별,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

  1. 품목을 선택 할 수 있으며, 돋보기를 클릭하면 품목 검색창이 나타납니다.
  2. ①조회 기준에 의해 해당 기능이 활성화 됩니다. 돋보기를 클릭하면 조회 기준별 선택 가능한 항목을 검색 할 수 있습니다.

3. 컨텐츠 영역 :
선택된 조회 항목, 기준 및 기간으로 차트와 테이블이 나타나는 영역

  1. 차트에서 막대 또는 선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이 선택되어 더 자세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2. 조회 기준별 데이터를 테이블 형식으로 보여주며, 셀 선택시 해당 항목이 선택되어 더 자세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4. 선택바 : 선택된 조회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

  1. ⓐ 이전단계필터나 차트를 통하여 선택한 조회 조건을 취소 할 수 있습니다.
  2. ⓑ 다음단계이전단계로 취소한 조회 조건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3. ⓒ 모든 선택 해제선택된 조회 조건을 모두 해제 할 수 있습니다.
  4. ②필터영역 또는 차트를 통하여 선택된 조회 조건이 나타납니다.

5. 컨텐츠 영역에 있는 차트, 테이블 엑셀 및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능

  1. 컨텐츠 영역 차트의 데이터를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2. 컨텐츠 영역 차트를 이미지 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3. 컨텐츠 영역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