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분석 보고서
국내 주요 농산물 수급 동향 분석 리포트
[2020년 ~ 2024년] 건고추 에 대한 결과입니다.
중국 농산물 주요 산지
중국산 건고추 산지별 현황
업데이트 2025-02-19 11:57
(단위:천 ha, 천 톤)
구분 | 내몽고 | 길림성 | 신강 | 요녕성 | 산동성 | |||||
---|---|---|---|---|---|---|---|---|---|---|
면적 | 생산량 | 면적 | 생산량 | 면적 | 생산량 | 면적 | 생산량 | 면적 | 생산량 | |
2020년 | 68.7 | 123.6 | 25.3 | 68.4 | 103.3 | 356.5 | 30.0 | 49.5 | 13.3 | 20.0 |
2021년 | 49.3 | 125.6 | 22.3 | 60.1 | 97.7 | 366.5 | 20.3 | 39.5 | 5.8 | 7.0 |
2022년 | 50.7 | 91.2 | 24.0 | 48.6 | 99.3 | 372.5 | 20.0 | 31.5 | 5.3 | 7.1 |
2023년 | 64.7 | 155.2 | 27.3 | 65.6 | 114.0 | 393.3 | 23.3 | 45.5 | 5.9 | 8.0 |
2024년 | 58.5 | 122.8 | 28.8 | 69.1 | 114.5 | 394.9 | 24.5 | 44.2 | 5.7 | 7.7 |
중국산 건고추 산지별 생산량
중국산 건고추 산지별 재배면적
TIP※ 데이터 출처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Chat GPT 를 활용하여 생성한 AI 품목 동향 보고서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