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추에 대한
검색결과 입니다.
연관 검색어
- 품종을 검색하세요.
가격 정보
[배추] 거래 가격한 눈에 보기
가락시장 경락가격
- 8,579원
- (10키로망대 상품 기준)
- 전일대비774%
- -
2025-04-26 기준
산지공판장 가격
- 1,204원
- (1kg 상품 기준)
- 전일대비-494-29.1%
- 반입량 0 톤
2025-04-24 기준
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 632원
- (1kg 전체 기준)
- 전일대비-182-22.4%
- 반입량 1,071 톤
2025-04-25 기준
중도매인 판매가격
- 14,920원
- (10kg 상품 기준)
- 전일대비-180-1.2%
- -
2025-04-25 기준
소매가격
- 5,011원
- (1포기 상품 기준)
- 전일대비-24-0.5%
- -
2025-04-25 기준
가락시장 경락가격
· 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 본 가격 정보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출하자, 산지 및 품종에 따라 실제 거래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가격 정보의 업데이트로 인하여 조회 시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가락시장 경락가격 : [2025-04-26] 경매 기준 가락시장의 정산 후 경락가격 입니다.
· 산지 공판장 가격 : [2025-04-24] 경매 기준 농협 산지 공판장 경락가격 입니다.
· 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 [2025-04-25] 경매 기준 전국 32개 공영 도매시장의 평균 경락가격 입니다.
· 중도매인 판매가격 : [2025-04-25] 기준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소매가격 : [2025-04-25] 기준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소매가격 추정 판매량 : 전국 대형마트·SSM 매출액을 KAMIS 소매가격 평균값으로 나누어 도출합니다. (등급 및 단량이 고려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배추]일일 가격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 배추 / 월동 / 대구지역
2025년 04월 22일서인지 조사원
- <p> 전남 진도, 해남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br />
- 봄배추 반입 전으로 저장배추 반입 종료를 앞두고 가격 내림세<br />
- 도매가격 10kg 기준 상품 14,000원, 중품 11,000원 선에 거래됨<br />
- 봄배추 반입 전까지 현재 시세 유지 전망</p>
(소매거래) 채소류 / 배추 / 월동 / 대전지역
2025년 04월 21일황선실 조사원
- <p> 주 출하지는 전남 진도, 해남이이나, 전북 익산에서도 일부물량 반입됨<br />
- 햇김치 선호도 증가로 얼갈이와 열무의 소비는 증가한 반면, 저장배추는 소규모 외식업체 위주로 소비되어 내림세<br />
- 소매가격 1포기 기준 상품 6,500원, 중품 4,750원 내외로 거래됨<br />
- 도매시장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봄배추 출하되는 가운데 월동배추의 저장 한계기간 도래 등으로 가격 약세 전망</p>
[배추]가락시장 경락 가격
(단위 : 원)
날짜 | 단위 | 특 | 상 | 중 | 하 | 반입량 |
---|---|---|---|---|---|---|
2025년 4월 26일 | 10키로망대 | 14,761 | 8,579 | 4,264 | 2,423 | - |
2025년 4월 25일 | 10키로망대 | 14,255 | 7,805 | 3,667 | 2,117 | 440톤 |
2025년 4월 24일 | 10키로망대 | 15,329 | 8,233 | 4,443 | 2,189 | 442톤 |
2025년 4월 23일 | 10키로망대 | 15,212 | 8,698 | 5,145 | 3,369 | 394톤 |
2025년 4월 22일 | 10키로망대 | 15,027 | 8,702 | 5,627 | 3,406 | 496톤 |
[배추]산지 공판장 가격
(단위 : 원/1kg)
날짜 | 특 | 상 | 보통 | 등외 | 반입량 |
---|---|---|---|---|---|
2025년 4월 24일 | 1,971 | 1,233 | - | - | 6.9톤 |
2025년 4월 23일 | 3,055 | 1,698 | - | - | 20.4톤 |
2025년 4월 22일 | 1,998 | - | - | - | 18.9톤 |
2025년 4월 21일 | 1,780 | - | - | - | 12.4톤 |
2025년 4월 20일 | - | - | - | - | 0.0톤 |
[배추]전국 도매시장 경락가격 정보
(단위 : 원/1kg)
날짜 | 고 | 중 | 저 | 평균 | 반입량 |
---|---|---|---|---|---|
2025년 4월 25일 | 1,166 | 719 | 485 | 686 | 11.3톤 |
2025년 4월 24일 | 1,500 | 703 | 481 | 814 | 973.3톤 |
2025년 4월 23일 | 1,510 | 707 | 577 | 832 | 733.2톤 |
2025년 4월 22일 | 1,625 | 765 | 438 | 865 | 965.2톤 |
2025년 4월 21일 | 1,624 | 799 | 652 | 920 | 1,030.6톤 |
[배추]중도매 가격 정보
(단위 : 원)
날짜 | 단위 | 상 | 중 |
---|---|---|---|
2025년 4월 25일 | 10kg | 14,920 | 11,116 |
2025년 4월 24일 | 10kg | 15,100 | 11,400 |
2025년 4월 23일 | 10kg | 15,320 | 11,440 |
2025년 4월 22일 | 10kg | 15,320 | 11,280 |
2025년 4월 21일 | 10kg | 15,420 | 11,126 |
[배추]소매 가격 정보
(단위 : 원)
날짜 | 단위 | 상 | 중 |
---|---|---|---|
2025년 4월 25일 | 1포기 | 5,011 | 4,643 |
2025년 4월 24일 | 1포기 | 5,036 | 4,706 |
2025년 4월 23일 | 1포기 | 5,259 | 4,720 |
2025년 4월 22일 | 1포기 | 5,263 | 4,682 |
2025년 4월 21일 | 1포기 | 5,295 | 4,662 |
시장 반입량
[배추]지역별 도매시장 반입량
[배추]주요 품종별 반입량
(단위 : 톤)
구분 | 4월 21일 | 4월 22일 | 4월 23일 | 4월 24일 | 4월 25일 | 트렌드 |
---|---|---|---|---|---|---|
저장배추 | 1,015.4 | 928.8 | 812.8 | 910.6 | 787.2 | |
월동배추 | 338.7 | 309.0 | 182.0 | 330.2 | 100.3 | |
쌈배추 | 246.9 | 240.1 | 137.0 | 202.0 | 83.9 | |
봄배추 | 89.6 | 70.1 | 79.8 | 147.3 | 64.2 | |
배추 | 144.4 | 78.4 | 92.4 | 84.8 | 16.9 |
생산량
[배추]연도별 생산량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트렌드 |
---|---|---|---|---|---|---|
생산량(톤) | 1,859,705 | 2,242,640 | 2,017,507 | 2,199,070 | 2,049,048 | |
면적(ha) | 25,837 | 30,949 | 30,085 | 30,537 | 28,912 | |
10a 생산량(kg) | 7,198 | 7,246 | 6,706 | 7,201 | 7,087 |
데이터 출처 : 통계청 KOSIS
소비 트렌드
[배추]대형마트 소비트렌드
[2025년 3월 4주] 배추(전체) 1포기
구분 | 매출액(만원) | 평균가격(원/1포기) | 추정판매량(개/1포기) |
---|---|---|---|
3월 4주 | 59,179 | 5,334 | 110,946 |
3월 3주 | 55,944 | 5,383 | 103,926 |
3월 2주 | 91,013 | 5,457 | 166,782 |
3월 1주 | 110,793 | 5,489 | 201,846 |
2월 4주 | 117,738 | 5,397 | 218,154 |
[3월 4주 기준] 연도별 주간 판매량
[2025년 3월 4주] 주간 판매량 추세
데이터 출처 : ㈜마켓링크
- 대형유통업체(대형마트, SSM)의 주간 단위 품목별 매출을 POS데이터를 분석하여 조사한 수치를 제공합니다.(매주 목요일 16시)
- 조사대상 : 대형마트(롯데마트, 홈플러스, 하나로클럽, 이마트*), SSM(롯데슈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이마트 에브리데이, GS슈퍼*)
* 시장점유율을 고려한 추정치를 적용하였으니 자료 활용시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월-주차 기준 : 월초, 월말 일수를 감안한 주차(week) 체계의 월(마지막주에 목요일 포함이면 당월의 주, 월~일요일)
(예시) 24년1월31은 수요일로 목요일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2월 1주차로 간주함. 2월 1주차는 1/29(월)~2/4(일)까지
수출입 통계
[배추] 2025년 3월수출 한 눈에 보기
- 당월
- 월누계
- 당월
- 월누계
총 수출액
36천 $
총 수출물량
18 톤
최대 수출 국가
캐나다38.9%
수출액 성장 국가
싱가포르0.4%
[배추] 2025년 3월수입 한 눈에 보기
- 당월
- 월누계